LTV DTI DSR는 대출 진행 시 꼭 확인해야 할 사항입니다. 이것에 따라 대출 최대금액이 결정됩니다. 이제부터 알아볼까요?
LTV DTI DSR 알아보기
LTV : Loan To Value의 약자로 LTV의 뜻은 주택 시세 대비 몇프로 까지 대출을 박을 수 있는지의 비율.
DTI : Debt To Income의 약자로 총부채상환비율로 총 연소득에서 매년 은행에 갚아야하는 주택담보대출 원리금+기타대출이자상환액 차지하는 비율.
DSR : 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총부채원리금상환 비율.(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, 카드론, 자동차할부, 학자금대출 등)
<주택시세 알아보기>
LTV DTI DSR 예시
LTV : 주택시세가 3억, LTV가 60% 라면 최대 대출한도=3억X60%=1.8억 입니다.
DTI : 연소득 4천만원, DIT 50% 라면 4천만원X50%=2천만원. 즉, 연간 원리금(원금+이자)이 2천만원 까지만 대출이 가능하다는 뜻 입니다.
DSR : DTI와 비슷하여 해깔릴 수 있는데 쉽게 말하면 DTI보다 조금 더 강력한 규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. DTI는 주택담보대출이 기준이라면 DSR은 모든 대출을 기준으로 합니다.
마무리
지금까지 간략하게 LTV, DIT, DSR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이 비율들은 지역, 정책마다 자주 바뀌는 상황이 나오고 있는 만큼 구입하시는 지역과 정책을 꼭 확인하시고 진행하셔야 합니다.
확인 안하고 진행하셨다고 대출이 거절될 수 있는 만큼 꼭꼭꼭 확인 하셔야 합니다!
요즘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합니다. 요건 확인하시고 요건이 충족된다면 꼭 사용하세요!